Home 리눅스 자주쓰는 명령어
Post
Cancel

리눅스 자주쓰는 명령어

1. ls>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보는 명령어

  • 옵션
  • a : 전부 보여달라 (숨김, 디렉토리)
  • l : 상세정보 (소유자, 크기, 수정시간 등)
  • S : 크기별 정렬
  • h : 단위 표현 변경 (사람이 보기 편한 단위 KB, GB 등으로 보임)

$ ls -al            // 리스트를 상세하게 모두 출력

2. man> 명령어 도움말

$ man ls        // ls 명령어에 대한 도움말 출력

3. cd> 디렉토리 이동

$ cd /Data        // 루트 디렉토리에서 Data 디렉토리로 이동

4. mkdir>신규 디렉토리 생성

$ mkdir /Users/Temp        // Users폴더에 Temp 폴더 생성

5. rmdir> 디렉토리 삭제 ( 삭제시 디록토리 안에 파일이 없어야함)

$ rmdir /Test         // Test 폴더 삭제

6. rm> 파일이나 디렉토리 삭제 ( rmdir 보다 더 많이 사용 )

  • 옵션
  • r : 하위 디렉토리 삭제
  • f : 강제로 삭제i : 파일 지울지 물어봄
  • v : 삭제 정보 보여줌

$ rm /test/abc.txt     // test 디렉토리 안의 abc.txt 파일 삭제

7. touch> 용량 0의 파일 생성

  • a : 현 시간으로 파일의 접근 시간, 변경 시간 수정
  • c : 기존 파일이 없으면 파일이 생성되지 않음
  • t : 지정한 시간으로 접근 시간, 수정 시간을 수정 (단 변경 시간은 현재 시간으로 수정)

$ touch test.txt                 // 내용이 없는 test.txt 파일 생성

8. cat  /  more> 텍스트 파일 출력짧은 내용 볼때 cat, 내용이 많으면 more 사용

$ cat abc.txt    /    more abc.txt

9. head> 처음 10줄을 출력

$ head abc.txt

10. tail> 마지막 10줄을 출력

  • 옵션
  • f : 실시간으로 조회 (Log 확인시 주로 사용)

$ tail abc.txt        // tail 5 abc.txt   5줄확인

11. clear> 화면을 Clear 함

12. wc> 단어 수, 줄 수 등을 세어줌

  • 옵션l : line 수를 Count

$ wc -l abc.txt        // abc.txt파일의 Line 수를 Count

13. alias  /  unalias> 별칭을 지어주고 삭제함

$ alias a=’cd /a/b/c/d/e/f/g’        // alias 지정 후 a를 입력하면 해당 명령어가 실행됨

14. tar> 파일을 묶어줌

  • 옵션
  • c : 파일을 묶어줌
  • v : 작업 과정 확인
  • f : 저장될 파일명 지정
  • x : 묶은 파일을 풀어줌
  • z : tar + gzipj : tar + bzip2

$ tar cvf abc.tar ./test    // test 디렉토리를 abc.tar 파일로 묶어줌

15. find> 파일을 검색

  • 옵션
  • name : 파일 이름으로 검색
  • user : 소유자 이름으로 검색
  • size : 파일 크기로 검색

$ find ./test -name ‘b.*’ -size 0

16. grep> 파일에 포함된 특정 단어를 검색

  • 옵션
  • i : 대소문자 구분 안함
  • n : 라인 번호 출력
  • v : 검색어가 없는 Line 보여달라
  • c : 라인의 개수 출력

$ grep -ic ‘Feb’ ./d.txt        // 대소문자 구분하지 않고 d.txt 에 ‘Feb’ 가 있는 행 Count 해서 보여달라

17. ps> 명령어는 지금 실행중인 프로세스의 목록을 출력해주는 명령어

  • 옵션
  • a : 현재 실행중인 모든 프로세스 ( 다른 사용자들의 프로세스 포함)
  • e: 프로세스의 실행 환경 출력 ( = pid, time, tty)
  • u : 프로세스의 사용자 이름, 시간
  • x : 다른 사용자가 실행한 완료되지 않은 프로세스를 같이 출력
  • f : full format
$ Ps – efgrep tomcat    // tomcat 프로세스 확인

18. netstat> Linux 시스템의 TCP/IP 프로토콜 진단시 사용, 라우팅테이블, 소켓사용정보 등 볼수있음

  • 옵션
  • a : 모든 소캣의 상태를 보여준다.
  • -p : 포트정보 보여준다.
  • t : tcp 소캣만 보여준다.
  • n : 로컬 주소와 나가는 주소를 도메인에서 ip형태로 보여준다.
$ Netstat –napgrep :80grep 112.175grep Established  떠있는 포트 확인 해당아이피로

19. yum> 패키지 자동설치  (list, check-update / update / install /remove / info)

$ Yum install wget   / yum list

20. ln> 하드링크 / 심볼링크 생성 ( 윈도우 바로가기와 유사 )

  1. 하드링크 – 원본 파일의 inode를 같이 사용하는 파일

원본 파일이 변경되거나 사라지더라도 하드링크파일은 원본 데이터를 찾아 갈 수 있음

  1. 심볼링크 - 새로운 inode를 원본파일을 찾아가게 합니다

ln –s  /  ln 파일1 파일2

21. df> **디스크 여유 공간 확인

  • 옵션
  • -h : 메가(M), 기가(G)단위로 보기 좋게 확인할 수 있다.

$ df -h

22. passwd root> 루트 패스워드 변경

VI 사용법 정리

[기본 커서이동]

h :  왼쪽방향키

j : 아래 방향키

k : 위 방향키

l : 오른쪽 방향

gg : 문서 가장 위로 이동.

shift + g : 문서 가장 밑으로.

w(소문자) : 현재 커서의 다음 단어로 이동

W(대문자) : 현재 커서 라인의 가장 끝으로 이동

b(소문자) : 현재 커서의 전 단어로 이동

B(대문자) : 현재 커서 라인의 가장 앞으로 이동

복사]

yy : 현재 커서 라인 1줄 복사

y5y: 현재 커서 라인에서 5줄복사

[잘라내기] (라인 삭제 용도로 활용)

dd : 현재 커서 라인 잘라내기

d5d: 현재 커서 라인에서 5줄 잘라내기

[붙여넣기]

p(소문자) : 복사나 잘라내기한 내용을 현재 커서 위치 밑줄에 붙여넣기 한다.(전 이걸 많이 씀. shift누르기 귀찬)

P(대문자) : 복사나 잘라내기한 내용을 현재 커서 위치의 위줄에 붙여넣기 한다

[되돌리기]

u : 이전으로 문자 돌리기

[편집모드]

i : 문자 전 위치부터 편집.

a: 문자 다음 위치부터 편집.

x: 현재 위치 문자 제거하고 편집

[저장 및 문서 닫기]

:w  :문서 저장만하지

:wq :문서 저장하고 닫기

:q : 문서 닫기 (저장안하고 그냥닫으려면 :!q로 오버라이드)

:wq filename 문서 해당 이름으로 저장하고 닫기

[문서 열기]

:vs filename : 파일을 세로 방향으로 열기 ( 본인의 기준에 따라 방향이 다름 )

:sp filename:  파일을 가로 방향으로 열기 ( 본인의 기준에 따라 방향이 다름 )

[다중 문서 이동하기]

shift + w : 여러개 열어둔 문서끼리 이동 ( 다른 명령어도 있겠지만 이걸 가장 많이 사용함)

[vi상에서 명령어 실행]

:! ls  vi를 종료하지 않고 명령어 실행하기(파일 확인용, 서버 재 실행등의 간단한 작업시 자주 사용함)

[편집기 라인 번호]

:se nu or :set number : 편집기에 라인을 표시한다.(거의 습관적으로 사용)
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